발언/연구

AI(인공지능)는 인간의 마음을 가질 수 있는가?

발언
작성자
신학
작성일
2022.11.14
1. 11월6일에 청주서문교회에서 "기독교변증 컨퍼런스 'AI와 영혼, 죽음 후의 삶"에 대한 컨퍼런스가 있었습니다. 가장 주요한 주제는 AI는 영혼을 가질 수 있는가? 였습니다.

AI(인공지능)가 영혼을 가질 수 있는가? 에 대한 발제자들의 결론은, 이분설을 모두 믿기에 인공지능은 영혼을 가질 수 없다 였습니다.

이분설은 "영혼 = 마음 = 정신 = 생각 감정 의지 등" 이기에 물질인 인공지능이 비물질인 영혼을 가질 수 없다고 결론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이번 컨펀런스에서 공회의 삼분설론 접근하여 AI가 인간의 마음을 가질 수 있는가? 로 토의 했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2. 관련기사:

“과학 틀 넘어서면, 영혼 있다는 수많은 증거 존재” : 목회/신학 : 종교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50870
전체 2

  • 2022-11-14 09:35
    영이 죽은 불신자는 물질로만 살고, 불신자 할 수 있는 것은 AI가 다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식, 이미 인간을 아득히 넘어 섰고.
    이성, 판단의 영역인데 역시 추월 중.
    의지, 벌써 목적 설정 추진까지 가능.
    감정, 뇌의 감정 영역도 파악 활용 중.
    양심, 지식을 따라 가니 동물도 있고.

    남은 것은 믿어지는 마음, 믿는 것이 아니라 믿어지는 신앙의 세계뿐입니다. 나귀도 붙들어 주시면 선지자를 가르치나 그것은 하나님의 결정이지 인간에게 맡기지 않았으니, 주어지는 신령한 은혜만 불가하고 나머지는 창조로부터 물질과 타락한 인간에게 맡겨 놓은 것이어서 AI의 발전이란 우주를 개척해 나가는 인간을 우리가 직켜 보며 구경하는 것처럼 상대할 뿐입니다.

    1996년에 세계최초로 복제동물인 복제 양 돌리가 만들어 졌을 때 부터라도, 정통신학계가 이분설이 아닌 마음이 물질이라는 삼분설로 접근 하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 2022-11-20 06:15
    과학계에선 인공지능의 다음단계를 인공뇌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관련기사 입니다.

    인간 뇌세포가 인공지능보다 컴퓨터게임 빨리 배웠다 : 과학 : 미래&과학 : 뉴스 : 한겨레모바일 - https://m.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023960.html#cb


    SF가 현실로… 인공뇌가 ‘의식’을 갖는다면? : 동아사이언스 -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28325

전체 194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3013
스마트폰, 인터넷 중독의 원리에 대한 다큐멘터리
13013 | 반사 | 2023.05.02
반사 2023.05.02 0 124
12996
네가 믿은대로 될지어다. (1)
12996 | 김선생 | 2023.04.27
김선생 2023.04.27 0 142
12971
공회 삼분설에 대한 문의. (9)
12971 | 침례교 개혁주의 목회자 | 2023.04.20
침례교 개혁주의 목회자 2023.04.20 0 331
12934
애완동물과 ‘반려’동물 – 참 어려운 시대
12934 | 공회원 | 2023.04.10
공회원 2023.04.10 0 153
12964
한마디 설교의 무게
12964 | " | 2023.04.18
" 2023.04.18 0 151
12933
부활절에 보수교회의 행사가 안동 탈놀이, 풍물놀이단...
12933 | 서울 | 2023.04.09
서울 2023.04.09 0 224
12924
곧 주님께서 오십니다. (문답에서 이동-관)
12924 | 죄인이로다 | 2023.04.07
죄인이로다 2023.04.07 0 251
12917
개혁주의 신학이 공회는 필요가 없지만... (4)
12917 | 신학 | 2023.04.05
신학 2023.04.05 0 147
12918
영혼의 단순성 (한국 장로교, 박형룡 조직신학) (5)
12918 | 신학 | 2023.04.06
신학 2023.04.06 0 191
12797
[발언] 주 안에서 자랑할 것들
12797 | 목회자 | 2023.02.25
목회자 2023.02.25 0 524
12801
맑아야 밝다
12801 | 공회원 | 2023.03.03
공회원 2023.03.03 0 403
12803
말세의 고통에서 자유하는 방편
12803 | 공회원2 | 2023.03.03
공회원2 2023.03.03 0 234
12874
참 생명 - 하나님과의 연결
12874 | 공회원2 | 2023.03.23
공회원2 2023.03.23 0 206
12757
[묵상] 예수를 믿고 있는 지금 당신의 각오는?
12757 | 묵상 | 2023.02.14
묵상 2023.02.14 0 218
12716
뇌 조작의 시대, 말세 어느 정도까지? (2)
12716 | 신학 | 2023.02.02
신학 2023.02.02 0 416
12731
(교계) 믿은 후, 하나님 앞에 불순종 한 것은? (2)
12731 | " | 2023.02.07
" 2023.02.07 0 666
12756
비밀글 (죄론) 정통 장로교와 공회, 일맥상통 보이는 면 이미지 (1)
12756 | " | 2023.02.14
" 2023.02.14 0 18
12700
한겨울 혹한기와 이듬해 농사 관계로 본 신앙생활의 현실
12700 | 공회원 | 2023.01.31
공회원 2023.01.31 0 281
12669
[김병옥] 공회의 생명력
12669 | 김병옥 | 2023.01.24
김병옥 2023.01.24 0 344
12670
[김병옥] 공회의 지향점 (2)
12670 | 김병옥 | 2023.01.24
김병옥 2023.01.24 0 418
12769
[김병옥] 선배를 존경하자.
12769 | 김병옥 | 2023.02.17
김병옥 2023.02.17 0 386
12630
신앙의 생활 - 공회교훈 모음 (내용 추가)
12630 | (생활지도) | 2023.01.15
(생활지도) 2023.01.15 0 271
12647
[자세] 목적에 집념은 성공의 기본
12647 | " | 2023.01.15
" 2023.01.15 0 241
12666
[자세] 시험이란 혼자 치르는 것
12666 | " | 2023.01.22
" 2023.01.22 0 205
12667
[명절] 신앙 내면을 굳게 가질 절호의 기회
12667 | " | 2023.01.22
" 2023.01.22 0 259
12596
'영생의 소망'이라는 깨달음의 실상. (3)
12596 | 교인 | 2023.01.07
교인 2023.01.07 0 318
12617
[재독] 죄악을 끊어 던지라. (17)
12617 | 교인 | 2023.01.13
교인 2023.01.13 0 393
12628
김용의 선교사 소개 (1)
12628 | 교인 | 2023.01.15
교인 2023.01.15 0 315
12648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것과,
12648 | 김병옥 | 2023.01.19
김병옥 2023.01.19 0 235
12294
능동적 순종, 수동적 순종 - 교계의 논쟁 (1)
12294 | 공회원 | 2022.10.18
공회원 2022.10.18 0 351
12404
합동교단 "능동적 순종 헌의안 이대위서 신학부로 넘어감"
12404 | 신학 | 2022.11.14
신학 2022.11.14 0 232
12433
개혁주의 노선에서 "매일의 칭의 - 칭의의 갱신" (2)
12433 | 신학 | 2022.11.21
신학 2022.11.21 0 303
12626
신사참배 반대가 항일운동 독립운동인가? (1)
12626 | 신학 | 2023.01.15
신학 2023.01.15 0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