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제직회와 당회가 무엇인지요?
2004-05-10 08:45:19
초신자
[행정] 목사님 평안하신지요?
제목분류 : [~교리~교회론~교회운영~행정~]
내용분류 : [-교리-교회론-교회운영-행정-]
--------------------------------------------------------------------------------------------
목사님 평안하신지요?
몇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교회안에 제직회가 있다고 하던데 제직회가 무엇인지 설명을 해주세요...
또 "당회"의 뜻은...
총공회에서는 학습,세례를 하는 날짜는?
감사합니다..
2004-05-10 23:59:32
yilee [ E-mail ]
우선 간단하게 설명드린다면
제목분류 : [~교리~교회론~교회운영~행정~]
내용분류 : [-교리-교회론-교회운영-행정-]
--------------------------------------------------------------------------------------------
1.제직회란
모두 제(諸)라는 제직회입니다. 교회의 모든 직분자들이 다 함께 모인 회의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하나 조심할 것은 '교회의 정식 직분'이란 '목사' '장로' '집사'를 두고 말합니다. 장로교의 근본 행정은 '설교와 교회 목회를 책임진 전문가'는 목사고, '교인들을 대표하여 교회 행정을 맡고 목회자에 대하여 견제역할'을 하는 직책이 장로입니다. 그리고 '교회의 살림'을 맡은 직분은 집사라고 합니다.
2.장로교의 정식 직분과 임시 땜방으로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직분들
현재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직분은 우선 성직자로서는 '목사' '강도사' '전도사'가 있고, 평신도로서는 '장로' '권사' '집사(안수집사)', '서리집사' '권찰' '반사' 등입니다. 이 중에서 '목사'와 '장로'와 '집사'는 장로교 행정에서 말하는 정식 집사이고, 이 3가지 직분만이 장로교 교리에서는 성경이 말하는 교회의 직분으로 인정합니다.
이 3가지 직분 외에 '강도사' '전도사' '권사' '서리집사' '권찰' '반사' 등은 장로교 원칙에서는 교회의 정식 직분으로 보지 않습니다. 그냥 교회들이 시대에 따라 또 환경에 따라 이런 저런 임시직책으로 또 복음에 필요해서 교회 현장에서 대충 정해놓고 편리하게 사용하는 정도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3.총공회는 장로교의 직분 제도에 대하여는 상당히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장로교의 핵심 직책인 '장로'의 역할에 대하여 장로교의 원칙은 목사는 설교와 목회를 그리고 장로는 교회 행정과 치리 등을 주로 맡게 되는데, 공회 신앙노선은 장로들에게도 설교를 할 수 있도록 강력하게 지도하고 안내하는 편입니다. 심지어 아무 직분이 없는 이들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또 '안수집사'는 예외적인 경우로 인정하고 있고 원칙적으로는 서리집사로만 집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년 교인들의 신앙변동을 보아서 새로 집사를 세우기도 하고 또 기존 집사를 집사직에서 배제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고직이라고 인식되는 목사 장로는 2년에 한번씩 시무신임투표를 거쳐 4분의 3의 찬성을 얻지 못하면 목사는 사임을 시키고 장로는 2년 후 재신임을 물어 복직 또는 계속 사임상태를 유지시키고 있습니다.
동시에 장로교에서 정규 직분으로 취급하지 않는 전도사나 권사 또는 권찰도 그 호칭과 맡는 역할만 다를 뿐이지 성경적으로 앞에 3가지 직책은 성경적이고 나머지 직책들은 비성경적이라고 분류하지 않습니다. 실은 차별을 두지 않고 있는 편입니다.
그래서 일반 장로교의 제직회는 그 원칙이 목사 장로 집사지만, 공회는 장로교에서 말하는 일반적 의미의 '제직회' 대신에 '권찰회'라는 이름으로 해당 교회 모든 직분 전체가 함께 하는 회의에서 교회 운영의 최종 결정을 하는 편입니다.
4.당회라는 뜻은, 그 교회를 다스리는 최고 지도부를 말합니다.
목사와 장로로 된 모임을 '당회'라고 합니다. 당회는 그 교회를 다스리는 최고 회의고, 제직회는 확대 간부회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항상 모든 직분자들이 다 모일 수 없기 때문에 평소 일반적인 사항은 당회에서 거의 결정하고 아주 중요한 일 몇가지는 제직회에서 전체 의사를 묻는 정도입니다.
5.공회의 학습과 세례는
주로 신년 초기에 성찬식과 함께 학습 세례 등 교회가 매년 최소한 한번 정도 거쳐야 하는 여러 행사들을 한꺼번에 하고 있습니다. 주일마다 나누어 진행할 수도 있으나, 주일마다 이런 저런 행사를 하다보면 일년 열두달 행사만 하다가 볼 일을 다 보고 정작 주일날 말씀과 예배로 은혜생활을 하는 면은 줄어들고 행정적인 여러 행사가 강조될까 해서 그렇습니다.
목사님이 계신 교회는 연초에 하는 것이 보통이며, 조사님들이 계시는 교회는 타교회 목사님을 모셔야 하기 때문에 일정 조정상 1월 말 또는 2월에 일정을 잡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세례 학습은 성찬과 함께 진행되는데 성찬은 우리가 신앙생활 중에서 가장 조심해야 할 부분이기 때문에 교회나 목회자나 교인 전체에 문제가 있을 때는 일정대로 무조건 진행하지 않고 일정을 예고없이 연기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각 교회의 세례 학습 성찬의 일정은 그 교회가 살아있다면 항상 조금씩 유동적인 모습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천주교처럼 생명이 없고 의식과 형식으로만 진행하는 교회는 교회에 어떤 일이 있어도 마치 국가 행사가 일정에 잡힌대로 진행되듯 그렇게 진행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
담당72023-06-01 08:29구 게시판 자료화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 |
'문답방 이용 - ①기존문답보관실 ②비공개질문 ③비실명진행
공지
|
직원
|
2018.02.21
|
추천 0
|
조회 15938
|
직원 | 2018.02.21 | 0 | 15938 |
13806 |
New UP [용어] 천희대신신붕 천어중주신 용어 설명 요청
(1)
13806
|
#4917
|
2023.12.11
|
#4917 | 2023.12.11 | 0 | 7 |
13805 |
New UP [집회요약] 85년 5월 집회 요약 자료
(1)
13805
|
#4913
|
2023.12.11
|
#4913 | 2023.12.11 | 0 | 4 |
13804 |
New UP [전도방법] 사영리를 가지고 전도해도 되는지
(1)
13804
|
#4912
|
2023.12.11
|
#4912 | 2023.12.11 | 0 | 6 |
13803 |
New 성경해석
(1)
13803
|
성도
|
2023.12.10
|
성도 | 2023.12.10 | 0 | 29 |
13796 |
[주해] 가인의 제사를 받지 않으신 이유
(1)
13796
|
#4910
|
2023.12.08
|
#4910 | 2023.12.08 | 0 | 29 |
13795 |
[말세] 예수님 언제 오시나요?
(1)
13795
|
#4904
|
2023.12.08
|
#4904 | 2023.12.08 | 0 | 31 |
13794 |
[조직신학] 상급론 외국 도서들
(1)
13794
|
#4901
|
2023.12.08
|
#4901 | 2023.12.08 | 0 | 16 |
13793 |
중생 곧 거듭난 사람도 귀신이 침투할수있습니까?
(1)
13793
|
김민환
|
2023.12.07
|
김민환 | 2023.12.07 | 0 | 113 |
13788 |
[교회운영] 셀 교회
(1)
13788
|
#4895
|
2023.12.07
|
#4895 | 2023.12.07 | 0 | 32 |
13787 |
[양성원] 양성원 관련
(1)
13787
|
#4893
|
2023.12.07
|
#4893 | 2023.12.07 | 0 | 20 |
13786 |
[신학] 보수교단에서 백목사님 교리에 근접했던 분
(1)
13786
|
#4890
|
2023.12.07
|
#4890 | 2023.12.07 | 0 | 38 |
13783 |
[조직신학] 최근 소식은?
(1)
13783
|
#4889
|
2023.12.06
|
#4889 | 2023.12.06 | 0 | 21 |
13782 |
[직업] 보고서를 작성할 때마다 양심의 가책이
(1)
13782
|
#4879
|
2023.12.06
|
#4879 | 2023.12.06 | 0 | 18 |
13781 |
[이성] 음행죄
(1)
13781
|
#4878
|
2023.12.06
|
#4878 | 2023.12.06 | 0 | 24 |
13773 |
[성경번역] 아니니 / 아니냐
(1)
13773
|
#4874
|
2023.12.05
|
#4874 | 2023.12.05 | 0 |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