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구남단2
부산의 감천 태극교 행사를 들으며
구남단2
작성자
서기
작성일
2011.07.25
1번 사진
병풍처럼 사방이 둘러 싸인 감천 마을을 특수 촬영하여 담은 것입니다.
2번 사진
90년대의 주거 정비로 좋아진 모습니다. 서부교회 주일학교의 전성기인 80년대까지는 같은 자리에 하꼬방 밀집 지역이었습니다. 집 앞으로 지나는 골목에 2 명이 함께 가지 못하고, 집과 집 사이는 어린 아이 하나 비집고 들어 가거나 그 것도 불가능할 상황이었습니다. 어느 집이든 골목에서 문을 열면 바로 한 가족이 잠을 자고 있는 안방이었고, 한 골목의 50 미터만 아이들을 부르면 수십 명이 교회를 간다고 따라 나오던 곳입니다.
감천은
서부교회 주일학교 부흥 과정에서 유명한 지역이었습니다. 서부교회에서 걸어서 가던 곳이며, 6.25 피난 시기에 형성 된 대규모 저소득 밀집지며, 태극교의 본부인데 이 곳에서 수 많은 주일학생들을 전도했고, 이들이 자라서 중간반으로 또 지금은 곳곳에 이 노선 중심 교인이 되거나 당시 활동했던 반사 선생님들이 공회의 중심 목회자가 되어 있습니다.
태극교는
근면하고 성실하며 만사에 아끼고 철저하게 사는 분들이어서 그 시작은 모두 극단적으로 어려웠으나, 그 곳에서 배우고 익힌 생활력을 가진 분들이 태극교에서 나온 경우는 예외 없이 경제적으로 성공하고 산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으며, 지금도 그 속에서 별 천지 세계에 빠져 사는 이들은 그 많은 세월 속에 여전히 근근 살아가는 모습을 대조적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남북이 한 민족이나 두 체제를 통해 두 모습이 된 것처럼 태극교 사람들이 그 곳에 익힌 생활 습관 때문에 탈퇴 여부에 따라 두 모습이 확연하게 달라진 것입니다.
서부교회 주일학교 역사에서
가장 유명했던 지역 중 하나인 감천을 잊은 지 20여 년이 다 되어 가는데 7월 23일 경 그들의 연례 행사날이 있어 그 곳을 지나가는 분들이 여전히 버티고 있는 태극교의 중심을 보며 많은 것을 느꼈다고 합니다. 충청도를 중심으로 외지에서 단체로 감천동 태극도 본부에 집결한 관광버스가 십 수 대라고 합니다.
골수 신앙인들
미국의 아미쉬 교도들처럼 수백 년 세월을 우습게 여기고 자기들 식으로 믿는 강단 있는 노선, 이제는 흔적밖에 남지 않았으나 수십 년 세월을 버티고 나온 재건교회 등 한 길을 고수한 교파들에 대한 관심은 평소에 많습니다만, 이단인 박태선의 전도관과 미신인 태극교라 해도 그 속에 인간 심리나 성향이 궁금해서 좀 주목하는 편입니다. 옳고 바른 신앙의 길이란 그런 인간의 요소나 흐름에 의탁해서 되는 것은 아니나, 비교하며 회개하며 은혜를 구하는 데는 유익할 때가 많습니다.
병풍처럼 사방이 둘러 싸인 감천 마을을 특수 촬영하여 담은 것입니다.
2번 사진
90년대의 주거 정비로 좋아진 모습니다. 서부교회 주일학교의 전성기인 80년대까지는 같은 자리에 하꼬방 밀집 지역이었습니다. 집 앞으로 지나는 골목에 2 명이 함께 가지 못하고, 집과 집 사이는 어린 아이 하나 비집고 들어 가거나 그 것도 불가능할 상황이었습니다. 어느 집이든 골목에서 문을 열면 바로 한 가족이 잠을 자고 있는 안방이었고, 한 골목의 50 미터만 아이들을 부르면 수십 명이 교회를 간다고 따라 나오던 곳입니다.
감천은
서부교회 주일학교 부흥 과정에서 유명한 지역이었습니다. 서부교회에서 걸어서 가던 곳이며, 6.25 피난 시기에 형성 된 대규모 저소득 밀집지며, 태극교의 본부인데 이 곳에서 수 많은 주일학생들을 전도했고, 이들이 자라서 중간반으로 또 지금은 곳곳에 이 노선 중심 교인이 되거나 당시 활동했던 반사 선생님들이 공회의 중심 목회자가 되어 있습니다.
태극교는
근면하고 성실하며 만사에 아끼고 철저하게 사는 분들이어서 그 시작은 모두 극단적으로 어려웠으나, 그 곳에서 배우고 익힌 생활력을 가진 분들이 태극교에서 나온 경우는 예외 없이 경제적으로 성공하고 산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으며, 지금도 그 속에서 별 천지 세계에 빠져 사는 이들은 그 많은 세월 속에 여전히 근근 살아가는 모습을 대조적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남북이 한 민족이나 두 체제를 통해 두 모습이 된 것처럼 태극교 사람들이 그 곳에 익힌 생활 습관 때문에 탈퇴 여부에 따라 두 모습이 확연하게 달라진 것입니다.
서부교회 주일학교 역사에서
가장 유명했던 지역 중 하나인 감천을 잊은 지 20여 년이 다 되어 가는데 7월 23일 경 그들의 연례 행사날이 있어 그 곳을 지나가는 분들이 여전히 버티고 있는 태극교의 중심을 보며 많은 것을 느꼈다고 합니다. 충청도를 중심으로 외지에서 단체로 감천동 태극도 본부에 집결한 관광버스가 십 수 대라고 합니다.
골수 신앙인들
미국의 아미쉬 교도들처럼 수백 년 세월을 우습게 여기고 자기들 식으로 믿는 강단 있는 노선, 이제는 흔적밖에 남지 않았으나 수십 년 세월을 버티고 나온 재건교회 등 한 길을 고수한 교파들에 대한 관심은 평소에 많습니다만, 이단인 박태선의 전도관과 미신인 태극교라 해도 그 속에 인간 심리나 성향이 궁금해서 좀 주목하는 편입니다. 옳고 바른 신앙의 길이란 그런 인간의 요소나 흐름에 의탁해서 되는 것은 아니나, 비교하며 회개하며 은혜를 구하는 데는 유익할 때가 많습니다.
전체 0